본문 바로가기
세계 시사 정치 법

소이부답 뜻 심자한 문형배 한자

by 도나도나킴 2025. 8. 30.

소이부답 뜻은 종종 사용되는 말로서 그 뜻과 의미를 잘 모르시는 분들이 많아 이번 포스팅을 통하여 상세하게 안내해 드리고자 합니다.

소이부답 뜻
소이부답 뜻

 

오늘 알아볼 '소이부답'이라는 고사성어는 중국 당나라의 유명한 시인 이백의 시 '산중문답'에서 유래한 표현입니다. 이 성어의 뜻은 말로 직접 대답하지 않고 웃음으로만 응답하는 태도를 의미합니다.

 

 

즉, 질문을 받았을 때 솔직한 답변 대신 그저 웃기만 하는 모습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한자로는 笑而不答라고 쓰며, 각각의 글자는 '웃을 소', '말 이을 이', '아닐 부', '대답할 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네 글자가 합쳐져 '웃으면서도 대답하지 않는다'는 뜻이 됩니다.

 

 

이 표현이 등장한 배경을 살펴보면, 이백의 시 '산중문답'에 "나에게 무슨 뜻으로 푸른 산에 사느냐고 묻기에, 웃고 대답하지 않으니 마음이 저절로 한가롭다"라는 구절이 있습니다. 이는 시인이 산 속 전원 생활의 즐거움에 대해 묻는 질문에 대해 말로 길게 설명하지 않고 미소로 대신함을 보여줍니다. 즉, 그 경지는 말로 표현하기 어렵고, 그저 웃음으로 느끼고 전달할 수 있다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소이부답 뜻

 

이와 더불어 삼국지에서는 제갈량이 자신의 친구들에 관해선 모르는 것이 없으면서도 자신의 일에 관한 질문에는 대답하지 않고 웃음으로만 넘긴 이야기가 전해집니다. 이 때문에 '소이부답'은 어려운 질문이나 민감한 상황에서 직접 대답을 회피하거나, 대응할 가치가 없다고 판단될 때 예의상 웃음으로 대신하는 태도를 뜻하게 되었습니다.

 

현대 사회에서는 특히 정치인들이 난처하거나 민감한 질문에 대해 뚜렷한 답변을 피할 때 '소이부답' 태도를 보인다고 표현되기도 합니다. 꼭 부정이나 긍정을 하지 않고 단지 웃음으로 얼버무리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이런 태도는 때로는 자신의 입장을 모호하게 하여 갈등을 피하거나 상황을 완화하는 전략이 될 수도 있습니다.

 

소이부답 뜻

 

하지만 '소이부답'은 상황에 따라 부정적인 의미로도 해석될 수 있습니다. 상대방이 진지하게 대답을 기다리는 상황에서 웃음으로만 응답하면 무례하거나 불성실한 태도로 비춰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성어를 사용할 때는 맥락과 분위기를 잘 판단하여 적절하게 쓰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리 옛 어른들 가운데 특히 여인들은 감정을 겉으로 드러내기보다 '소이부답'의 자세로 침묵과 웃음으로 응답하는 것을 미덕으로 삼았습니다. 이는 당시 사회적 분위기와 역할에 따른 덕목이었습니다. 반면 현대에 와서는 성별과 세대에 따라 '소이부답'의 의미와 인식이 많이 달라졌으며, 때로는 상황을 지혜롭게 넘기는 현명한 대응 방법으로도 평가받습니다.

 

 

정리하자면, '소이부답'은 말로 직접 표현하기 어려운 감정이나 상황, 또는 회피하고 싶은 질문에 대해 웃음으로 대신하는 태도를 뜻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중국 고전문학의 깊은 뜻이 실린 이 성어는 현대에 와서도 다양한 상황에서 쓰이며, 말하지 않고 웃음으로 상황을 넘기거나 은근히 회피하는 지혜로운 태도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태도가 적절하지 않은 경우에는 오해를 낳을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처럼 '소이부답'은 단순한 대답 거부를 넘어 상황과 감정을 우아하게 표현하는 한 방법으로서, 그 의미와 유래를 충분히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최근 문형배 전 헌법재판관의 소이부답 상황으로 다시 주목받았습니다.

 

문형배 전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은 2025년 8월 27일 방송된 MBC '손석희의 질문들 시즌3'에 출연하여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심판 당시 상황과 자신의 심경을 밝혔습니다.

 

 

손석희 앵커가 문 전 재판관에게 파면 선고문 낭독을 몇 차례 연습했는지 묻자, 문형배 재판관은 약 4번 정도 연습했다고 답했습니다. 그 과정에서 주문을 읽을 때 카메라를 보고 선고해야 해서 평소와 다르게 연습했고, 긴장과 습관으로 인해 마지막에 고개를 숙이기도 했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손석희가 윤석열 전 대통령의 구속과 석방에 관한 입장을 묻자 문형배 전 재판관은 "분명히 입장을 갖고 있지만 이 자리에서 밝히지는 않겠다"면서 질문에 대해 말을 아끼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어서 윤 전 대통령이 다시 구속된 것에 대해서도 "재판이 진행 중이라 제3자 입장에서 언급하지 않는 것이 도리라고 생각한다"며 즉답을 피했습니다. 이런 태도는 어려운 정치적 사안에 대해 직접 답변을 피하고 신중하게 대처하는 '소이부답'과 같은 모습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문형배 전 권한대행은 탄핵 판결이 만장일치로 이루어진 배경과 과정, 선고 연습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며 당시의 긴장감과 자신의 자세를 진솔하게 전했습니다.

 

 

그는 국민적 관심이 크고 난감한 질문에 대해 솔직하면서도 신중한 태도를 견지하였으며, 이는 '소이부답'의 의미처럼 직접적인 답변을 삼가거나 미묘한 상황을 웃음과 침묵으로 넘기는 태도를 보여준 사례로 볼 수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문형배 전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은 손석희의 인터뷰에서 윤석열 대통령 탄핵 선고와 관련한 직접적인 질문에 대해 일부러 말을 줄이고 즉답하지 않는 태도를 보였으며, 이는 그가 처한 민감한 상황에 맞는 신중한 대응으로 볼 수 있습니다.

 

2025.08.28 - [세계 시사 정치 법] - 페이스 메이커 뜻

 

페이스 메이커 뜻

페이스 메이커라는 단어가 최근 큰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한미 정상회담에서 특히 이 단어가 사용되면서 페이스 메이커 뜻을 궁금해 하시는 분들이 많으며 지금부터 자세히 소개합니다. 2025년

blog.nucleartip.com

2025.08.28 - [인물탐구] - 서재필 기념관 박사 생가 후손

 

서재필 기념관 박사 생가 후손

오늘 포스팅에서는 서재필이라는 인물에 대해 자세하게 소개해 드립니다. 서재필 기념관부터 대통령 방문, 서재필 박사 생가 후손등의 정보를 소개합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2025년 8월 미국 필라

blog.nucleartip.com

2025.08.29 - [인물탐구] - 이배용 프로필 국교위원장 교수 금거북이 김건희

 

이배용 프로필 국교위원장 교수 금거북이 김건희

대한민국 초대 국가교육위원회 위원장 이배용은 교육인이자 정무직 공무원이며 최근 특검팀의 압수수색을 받기도 하였습니다. 이번 글에서 자세히 소개해 드립니다. 이배용은 대한민국의 교육

blog.nucleartip.com

 

반응형

'세계 시사 정치 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르네상스 뜻  (0) 2025.08.28
피스 메이커 뜻  (0) 2025.08.28
페이스 메이커 뜻  (0) 2025.08.28
숙청의 뜻  (0) 2025.08.27
제나일 만년필  (0) 2025.08.27